02
들어봤던 용어들도 정확하게 알고 가야할것 같다.
수업때 들어봤지만 잘 기억도 안나고, 모드버스 프로토콜을 공부하며 나오는 말들을 좀 더 알아보았다.
[네트워크]
라우팅
경로 정보를 분석해 현재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최적의 경로를 계산해
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.
라우팅 테이블 : 토폴로지, 트래픽 부하 여부, 링크 비용 등 계산에 필요한 요소 기반으로
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계산된 라우팅 정보 저장된 테이블.
정적 라우팅 -> 관리자가 패킷 경로 수동으로 구성
동적 라우팅 -> 라우터가 라우팅 프로토콜의 계산에 따라 스스로 경로 결정
[참고] https://steady-coding.tistory.com/528
게이트웨이
다른 네트워크로 가기위한 관문. 같은 LAN 안에서는 MAC Address로 통신하기 때문에
게이트웨이 주소를 몰라도 상관없음.
자신의 네트워크 (ex: 192.168.0.1) 에서 다른 네트워크 (ex: 172.16.20)로 간다고 생각하면,
IPv4 마지막 주소인 192.168.0.xx 4번째 자리 주소가 네트워크의 갯수.
그 안에 게이트웨이 주소가 세팅되어 있어야 정상적으로 통신이 가능.
(subnet mask에서 단말의 수를 보고 네트워크의 수를 계산해서...)
[참고] https://ja-gamma.tistory.com/entry/%EA%B2%8C%EC%9D%B4%ED%8A%B8%EC%9B%A8%EC%9D%B4%EB%9E%80
시리얼 통신
serial(직렬) <-> parallel(병렬)
시리얼 통신에서는 데이터를 이진 펄스 형태로 전송.
1: 논리 high, 0: 논리 low
Transmitter가 이진 펄스 형태로 보내고, Receiver가 높고 낮음 구분해 데이터로 읽는다.
이렇게 통신하려면 Transmitter와 Receiver가 Clock 동기화가 되어있어야함.
Clock: 어떤 시점에 이진 펄스를 논리 정보로 읽을것인지 시점 정하는 기준.
동기화가 안되어있으면 같은 데이터라도 이상하게 읽을 수 있다.
-> Clock Synchronization. 시리얼 통신에 꼭 필요하다. (interface에 따라 동기, 비동기)
Baud Rate: Trasmitter(이하 T)와 Receiver(이하 R) 사이의 초당 전송 bits 수.
일반적으로 9600인데, 1200, 2400, 4800, 57600 등 다양하게 씀.
Framing: 데이터 프레임. 시작과 정지 비트를 포함한 문자. 일반적으로 8 bits 사용
Error Control: 노이즈에 영향 주는 요소가 시리얼 통신에 많음. parity bits 검사.
동기 시리얼 프로토콜 : USB, CAN, SPI, I2C, Microwire
비동기 시리얼 프로토콜 : RS232, RS422, RS485
[참고] https://medium.com/newworld-kim/%EC%8B%9C%EB%A6%AC%EC%96%BC-serial-%ED%86%B5%EC%8B%A0%EC%9D%B4-%EB%AD%98%EA%B9%8C-bdf991a300b1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통신, 소켓 통신 (0) | 2023.08.25 |
---|---|
01 (0) | 2023.08.16 |
00 (0) | 2023.08.14 |